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42

오늘은 채무자의 실종에 대해서 여신관리의 지침을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채무자가 실종이 되었을때 해당 여신을 관리하는 은행에서 하게되는 관리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채무자가 실종하였을때 실종제도가 있습니다. 실종제도는 부재자의 생사불명의 상태가 일정 기간 계속하고 생존의 가능성이 적을 때, 그 자를 사망한 것으로 보고 그자를 중심으로 법률관계를 확정시킬 필요가 있다. 실종신고는 부재자의 생사가 분명하지 않아야하고, 생사불명의 상태가 일정기간( 보통실종은 5년 특별실종은 1년 계속되어야 함) 실종선고를 받은 자는 사망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민법에서 정의를 했네요 이렇게 실종선고를 받게되면 재산 상속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실종선고를 받은후 실종선고가 취소되면 상속이 이미 진행되었다면 선의가 있었는지 여부가 매우 중요합니다. 2022. 11. 29.
영업현금흐름 계산법을 알아봅시다 영업현금흐름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가장 중요한 자금원천입니다. 영업현금흐름의 크기는 차입금 상환이나 관련 이자비용 및 배당금의 지급능력, 장기적으로는 투자에 필요한 현금유출의 원천이 됩니다. 회사가 지속적인 투자활동을 통해 장기적으로 성장하려면 안정적인 영업현금흐름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손익활동은 : 영업수익에 해당하는 매출은 물론 이자수익이나 배당금수익등 영업외 수익을 벌어들이는 활동입니다. 2022. 11. 11.
유가증권의 평가기준을 알아봅시다 유가증권은 크게 만기보유증권, 단기매매증권 , 매도가능증권, 지분법적용투자주식으로 분류됩니다. 물론 이 분류의 적정성은 보고기간 종료일마다 재검토 해야하지만요 - 만기보유증권 채무증권으로 만기까지 보유할 의사가 있는 유가증권은 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합니다, -단기매매증권 단기매매증권은 주로 단기간 내의 매매차익을 목적으로 취득한 증권으로매수와 매도가 적극적이고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유가증권을 말합니다. 이것은 모두 유동자산으로 분류됩니다,. -매도가능증권 단기매매증권이나 만기 보유증권으로 분류되지 않는 유가증권은 매도가능증권으로 분류합니다 - 지분법적용투자주식 지분비율이 20% 이상인 경우 투자회사가 피 투자회사에 대해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경우 지분법적용투자주식으로 분류하고 지분법을 적용해 평.. 2022. 11. 8.
손익분기점과 공헌이익, 손익분기점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업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인 손익분기점, 공헌이익, 손익분기점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손익분기점은 - 회사의 영업수익과 영업비용이 정확히 일치하여 영업이익도 영업손실도 발생하지 않는 매출액을 의미하는데요 그렇다면 공헌이익은 무엇일까요? 매출액에 변동비를 차감한 후의 이익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매출이 2000억인 회사에 변동비가 1400억이라면 이 회사의 공헌이익은 600억이 되겠지요 공헌이익은 회사의 고정비를 회수하는데 공헌하고 남는 부분을 영업이익창출에 공헌하게 됩니다. 손익분기점을 구할때도 공헌이익을 알면 계산이 빠릅니다. 매출 2000억의 회사에 600억이 공헌이익이 되기때문에 공헌이익률은 30%가 됩니다. 그렇다면 손익분기점률은 어떨까요? 손익분기점률은 회사의 손익분기점 매출액이.. 2022.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