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식42 법인 상호의 변경시 은행의 관리에는 간혹 대출받은 법인이 상호를 변경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관에 기재가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등기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법인 등기부등본에서도 해당 상호의 변경을 확인이 가능하며 법인등기와 공고를 하지 않으면 해당 변경사실을 모르는 3자에게 대항할 수 없습니다. 은행에서는 상호변경시 신고사항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상호가 변경되어도 법인의 동일성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해당 사항은 법인의 등록번호(개인으로 치면 주민번호)가 변경되는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2022. 11. 4. 법인대표자의 변경시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오늘은 법인의 대표자 변경시 은행에서 주의하는 사항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먼저 법인 대표자의 변경시에는 -> 대표자의 임기가 만료되거나, 사임, 사망, 해임하는경우 발생하는데요 은행에서는 이러한 채권등을 관리할때 각별히 주의해야합니다. 변경하는 원인을 꼭 파악해 둬야하구요 대표자 변경시 법인등기부등본에 등기를 해야하며 해당 대출을 받아 사용중인 은행에는 신고를 해줘야합니다. 2022. 11. 4. 유가증권, 채무증권, 지분증권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가증권과 채무증권 지분증권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 유가증권은 재산권을 나타내는 증권을 말합니다. 상법상 유가증권과 재무관리 차원에서의 유가증권의 개념은 좀 다릅니다. 채무증권은 발행자에 대해 원금이나 원리금 상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유가증권과 이와 유사증권을 의미합니다. 국채 공채 회사채(전환사채) 자산유동화증권등이 포함됩니다. 지분증권은 기업, 조합, 기금등의 보유지분을 나타내는 유가증권과 일정 금액으로 보유지분을 취득할 권리를 갖는 채권등을 의미합니다. 보통주 우선주 신주인수권부사채 등을 포함하게 됩니다. 2022. 11. 3.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특징을 알아보자 오늘은 재무제표에 있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 사진에서 알수있듯 재무제표에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가 존재합니다 오늘은 이중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 재무상태표는 회사의 자금이 어떻게 조달되었고 어디에서 사용되는지를 알수가 있습니다 재무상태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로는 -회사의 총자산규모가 얼마나 되는가 - 재무구조가 양호한지 - 과거의 이익이 많이 누적되어있는지 - 적절한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 회사의 순자산가치는 얼마인지 등이 중요합니다 손익계산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로는 - 당해연도의 경영성적이 어떠한지 - 회사가 계속 성장하고 있는지 - 회사의 영업활동과 재무활동 성과는 어떠한지 등이 중요합니다 2022. 11. 2.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