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업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인 손익분기점, 공헌이익, 손익분기점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손익분기점은
- 회사의 영업수익과 영업비용이 정확히 일치하여 영업이익도 영업손실도 발생하지 않는 매출액을 의미하는데요

그렇다면 공헌이익은 무엇일까요?
매출액에 변동비를 차감한 후의 이익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매출이 2000억인 회사에 변동비가 1400억이라면 이 회사의 공헌이익은 600억이 되겠지요
공헌이익은 회사의 고정비를 회수하는데 공헌하고 남는 부분을 영업이익창출에 공헌하게 됩니다.
손익분기점을 구할때도 공헌이익을 알면 계산이 빠릅니다.
매출 2000억의 회사에 600억이 공헌이익이 되기때문에 공헌이익률은 30%가 됩니다.

그렇다면 손익분기점률은 어떨까요?
손익분기점률은 회사의 손익분기점 매출액이 현재의 수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손익분기점률은 고정비를 손익분기점으로 나눠서 계산하면 되는데요

오늘은 이렇게 손익분기점, 공헌이익, 손익분기점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업현금흐름 계산법을 알아봅시다 (0) | 2022.11.11 |
---|---|
유가증권의 평가기준을 알아봅시다 (0) | 2022.11.08 |
법인 상호의 변경시 은행의 관리에는 (0) | 2022.11.04 |
법인대표자의 변경시 주의사항 (0) | 2022.11.04 |
유가증권, 채무증권, 지분증권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2.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