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 초급에서 다루고 있는 종결어미 중 한 개를 선정하여, 도입, 제시, 연습, 활용, 마무리 단계의 문법 수업 지도안과 자료를 구성
한국어 교원
한국어는 어간에 여러 어미가 결합하는 형상을 띄는 대표적인 굴절어이다. 한단어에 어미변화를 굴절이라고 하는데 용언의 굴절을 담당하는 활용어미 중 그 어미가 용언의 맨 끝에 와서 한 문장의 끝남을 나타내는 어미가 종결어미이다. 한국어의 경우 다른 언어와 다르게 조사, 어미 등이 발달하여 다양한 유의적 및 다의적인 문법의 형태가 존재하고 있고,
이와 같은 형태가 복잡한 한국어의 형태적인 특성임을 고려해 보았을 때,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잘 하기 위해서는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의도한 바를 정확하게 전달하기위해 상황에 맞는 적절한 종결어미를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외국인이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에 한국어 종결어미에 대응할만한 문법 요소가 없어서 한국어 종결어 습득에 큰 어려움을 격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일상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한국어 초급의 목표에 따라서 초급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종결어미는 간단하다.

2. ‘-는데’의 의미 및 기능
‘-는데’라는 종결어미는 복잡하고도 다양한 의미적 기능을 갖고 있는 연결어미이다.
한국어 초급 수준의 학습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종결어미인 ‘-는데’의 경우, 그의 의미 기능으로서 이유 제시 기능이 존재한다.

'한국어교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 (0) | 2023.07.03 |
---|---|
중의적표현의 종류와 특성을 나열하고 설명하기_외국어로서의한국어 (0) | 2023.06.10 |
한국어 능력 중 사회언어학적 능력이 떨어지는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신장시키기위한 구체적인 방안 레포트에 관해서. (0) | 2023.06.03 |
현대 한국사회의 정보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는 무엇이 있을지 레포트. (0) | 2022.12.12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개론- 한국어교수법의 개념과 특징 (0) | 2022.12.09 |